WEB

[CSS] 반응형

Gayeon 2021. 7. 18. 00:33

반응형

@media screen and (min-width: 800px) {
	.container {
		width: 50%;	
	}
}
/* screen이 적어도 넓이가 800이상일때 .container 안 수행 */

 

>> 외 자세한 내용은 mdn(Beginner's guide to media queries, Using media queries)에서 확인 가능!

  • item을 반응형으로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크기를 100%로 지정해주는것!
    .player video {
    	width: 100%;
    	max-width: 1000px;
    }​
  • realative length units
    • em - 부모의 폰트사이즈에 상대적으로(곱한 값) 계산되어짐
      .parent{
      	font-size:8em; /*800%와 동일*/
      }
      .child{
      	font-size:0.5em; /*50%와 동일*?
      }
      
      /*이때, 8em은 기본값인 16px에 8배(128px)이고, 
      0.5em은 부모인 128px의 0.5배 이므로 64px임.*/​
    • rem (root + em) - 부모가 아니라 root 사이즈에 상대적으로 계산됨
      .parent{
      	font-size:8em; /*800%와 동일*/
      }
      .child{
      	font-size:0.5em; /*50%와 동일*?
      }
      
      /*이때, 8rem은 기본값인 16px에 8배(128px)이고, 
      0.5rem은 루트인 16px의 0.5배 이므로 8px임.*/​
    • v* (view*)
      • vw, vh, vmin, vmax
        • 100vw: 뷰포트 너비의 100퍼센트
        • 50vmin: 뷰포트의 너비와 높이 중 작은것의 50퍼센트

 

  • 그외
    • 데이터의 길이를 제한하고 싶을때(예, 창 사이즈가 줄어들 시 두줄 이하로)
      • webkit-line-clamp CSS 속성은 블록 컨테이너의 콘텐츠를 지정한 줄 수만큼으로 제한합니다.
        p {
          width: 300px;
          display: -webkit-box;
          -webkit-box-orient: vertical;
          -webkit-line-clamp: 3;
          overflow: hidden;
        }​
      • 버튼에 아이콘과 글이 함께 있고 가운데로 맞추고 싶은경우
        - margin: 0 auto; 로 지정해주면 된다.


    • overflow - 컨텐츠가 너무 커서 요소내에 모두 보여줄수 없을때 설정
      • :visible - 상자밖으로 보여짐
      • :hidden - 상자밖으론 보이지 않음.잘림
      • :scroll:스크롤바가 추가됨
      • :auto: 컨텐츠 양에 따라 스크롤바 자동으로 결정.
      • overflow-x, overflow-y와 같이 가로세로별로 지정가능

 

참고 : 유튜브 드림코딩
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SS] flex box  (0) 2021.07.18
[CSS] 레이아웃  (0) 2021.07.18
[CSS] Selectors  (0) 2021.07.17
[html] 태그  (0) 2021.07.17